AWS 배포하기 : EC2
AWS 배포하기 : EC2 내배캠 과제를 하면서 AWS 배포 방법을 배웠다... 혹시 캠프 후 잊어버릴까봐 정리해둠. 1. AWS 콘솔화면 1) AWS 로그인 AWS 콘솔 주소 https://console.aws.amazon.com/console/home console.aws.amazon.
im-running.tistory.com
AWS에서 제공하는 데이터베이스 서비스(RDS)를 이용하는 방법
1. 콘솔 접속
https://ap-northeast-2.console.aws.amazon.com/console/home?region=ap-northeast-2
https://ap-northeast-2.console.aws.amazon.com/console/home?region=ap-northeast-2
ap-northeast-2.console.aws.amazon.com
* 원하는 지역으로 접속하면 된다.
2. RDS로 이동
3. 대시보드에서 데이터베이스 선택
RDS 페이지에서 데이터베이스-데이터베이스 생성 클릭
4. 생성 방식과 엔진 옵션 선택
표준 생성 - MySQL을 선택한다. (사용할 DB에 맞게 선택)
템플릿은 프리 티어로 선택(다른 DB 인스턴스 사이즈는 추가 요금이 발생한다...)
1년 동안은 무료로 사용 가능하니까 프리 티어를 선택하자.
5. DB 설정
- 인스턴스 식별자 : 고유한 이름으로 프로젝트에 맞게 자유로이 설정
- 마스터 사용자 이름에 접속 정보 설정
- 보통 root를 많이 사용한다.
- 마스터 암호 설정
6. 인스턴스 구성과 스토리지
기본 설정으로 둔다.
7. 연결 설정
컴퓨팅 리소스 : EC2 컴퓨팅 리소스에 연결 안 함
퍼블릭 액세스 기능 : 예
보안 그룹을 새로 만들어주고, 가용 영역을 선택한다.
가용영역은 a~d가 있는데 아무 거나 선택해도 됨
8. 추가 구성
추가 구성에서 포트 번호와 초기 DB 이름을 설정한다. (안 해도 무방함)
포트는 3306이 기본임!
마지막으로 데이터베이스 생성 버튼을 클릭해주면 된다.
'INFO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컨테이너 오케스트레이션] Kubernetes / ECS / EB(Elastic Beanstalk) (0) | 2024.04.09 |
---|---|
[git] Diverging branches can't be fast-forwarded, you need to either : (0) | 2024.04.04 |
[VSCode] 권한 부족으로 '~.'을(를) 저장할 수 없습니다. (0) | 2024.03.11 |
Nest.js 주요 패키지 목록 및 설치 (0) | 2024.03.10 |
DBeaver에서 MySQL 연결 시 <Public Key Retrieval is not allowed> (0) | 2024.03.08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