반응형
Markdown?
마크다운(Markdown)은 텍스트 기반의 마크업 언어 중 하나로, 쉽게 읽고 쓸 수 있으면서도 HTML로 변환이 가능해 웹 콘텐츠 작성에 널리 사용됩니다. 마크다운은 2004년 존 그루버(Jon Gruber)와 에런 스워츠(Aaron Swartz)에 의해 만들어졌으며, 그 목표는 최대한 읽기 쉽고, 쓰기 쉬우며, HTML로 변환 가능한 포맷을 만드는 것이었습니다.
이 포스트에서는 마크다운의 기본적인 문법과 대표적인 예제를 소개합니다.
마크다운 기본 문법
1. 헤더(Headers)
- # 을 사용하여 h1부터 h6까지의 헤더를 생성할 수 있습니다. #의 개수가 많을수록 하위 헤더를 의미합니다.
# h1
## h2
### h3
#### h4
##### h5
###### h6
2. 강조(Emphasis)
- 이탤릭체는 * 혹은 _ 한 개를 사용해서 만들 수 있습니다.
- 볼드체는 ** 혹은 __ 두 개를 사용해서 만들 수 있습니다.
*이탤릭체*
_이탤릭체_
**볼드체**
__볼드체__
3. 목록(Lists)
- 순서가 있는 목록은 숫자와 점을 사용합니다.
- 순서가 없는 목록은 *, +, 또는 -를 사용합니다.
1. 첫 번째 항목
2. 두 번째 항목
3. 세 번째 항목
- 항목
* 항목
+ 항목
4. 링크(Links)
- `[표시할 텍스트](URL)` 형식을 사용합니다.
[Google](http://google.com)
5. 이미지(Images)
- `` 형식을 사용합니다.

6. 인용(Blockquotes)
- `>`를 문장 앞에 붙여 인용문을 생성할 수 있습니다.
> 이것은 인용문입니다.
7. 코드(Code)
- 인라인 코드는 백틱(`)으로 감쌉니다.
- 여러 줄의 코드는 백틱 세 개(```)로 감싸서 표시합니다.
`인라인 코드`
```
여러 줄의
코드
```
8. 체크박스(task lists)
- 기본적인 마크다운 문법에는 포함되지 않지만, GitHub 마크다운에서 널리 사용됩니다.
- 대괄호([ ])를 사용하여 빈 체크박스를, [x]를 사용하여 체크된 박스를 표시할 수 있습니다.
- 대괄호 사이에 공백을 두면 빈 체크박스가, x를 넣으면 체크된 박스가 됩니다.
- 순서가 없는 목록 표시에 사용되는 -, *, 또는 +와 함께 사용됩니다.
- [ ] 미완료 항목
- [x] 완료 항목
반응형
'INFO' 카테고리의 다른 글
Nest.js 개발환경 구축 (0) | 2024.03.07 |
---|---|
HTTP 상태 코드(응답 상태 코드) 정리 (0) | 2024.03.07 |
내 프로젝트에 TypeScript 설치하기 (0) | 2024.03.06 |
Docker로 로컬에서 MySql 사용하기 (0) | 2024.02.26 |
내 프로젝트에 pm2 설치하기 (0) | 2024.02.23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