범주별 정리
1xx: 정보 응답
100 Continue: 클라이언트는 요청을 계속해야 함을 의미합니다. 서버가 요청의 초기 부분을 받았고 클라이언트가 나머지를 계속 보내도 좋다는 신호.
2xx: 성공
200 OK
설명: 요청이 성공적으로 처리됐음을 의미
예시: 사용자가 게시물 목록을 요청하고 서버가 목록을 성공적으로 반환하는 경우.
201 Created
설명: 요청이 성공적으로 수행되었으며, 새로운 리소스가 생성됐음을 의미.
예시: 사용자가 새로운 게시물을 생성하고 요청이 성공적으로 처리된 경우.
202 Accepted
설명 : 요청이 접수되었으나 아직 처리되지 않았음을 의미. 비동기 처리 작업이 성공적으로 시작되었으나, 아직 완료되지 않았을 때 사용
예시 : 사용자가 비디오를 업로드하고 변환을 요청했을 때, 서버가 요청을 접수하고 변환 작업을 시작했으나 아직 작업이 완료되지 않았음을 알려줌...
4. 204 No Content
설명: 요청이 성공적으로 처리되었으나, 클라이언트에게 전송할 콘텐츠가 없음을 의미. 작업의 결과로서 클라이언트에게 새로운 콘텐츠를 제공하지 않는 경우에 사용된다.
예시: 사용자가 설정을 업데이트하고 성공적으로 처리되었으나, 특별히 반환할 새로운 콘텐츠가 없는 경우.
4xx: 클라이언트 오류
400 Bad Request
설명: 서버가 요청을 이해할 수 없음을 의미. 일반적으로 잘못된 요청 구조나 파라미터 때문에 발생
예시: 사용자가 게시물을 생성할 때 필요한 필드를 누락시킨 경우.
401 Unauthorized
설명: 요청이 인증되지 않았음을 의미. 사용자가 자신을 인증하기 위한 자격 증명을 제공해야 함.
예시: 사용자가 로그인하지 않고 사용자만의 리소스에 접근하려고 시도하는 경우.
403 Forbidden
설명: 서버가 요청을 이해했으나 권한 부족으로 인해 거부됐음을 의미.
예시: 사용자가 관리자만 접근할 수 있는 섹션에 접근하려고 시도하는 경우.
404 Not Found
설명: 요청받은 리소스를 찾을 수 없음을 의미.
예시: 사용자가 존재하지 않는 게시물의 세부 정보를 요청하는 경우. 사용자가 존재하지 않는 URL로 웹사이트에 접근하려고 시도한 경우.
405 Method Not Allowed
설명: 요청된 리소스에 대해 사용된 HTTP 메소드가 허용되지 않음을 의미.
예시: 리소스에 대해 GET 요청은 허용되지만, POST 요청은 허용되지 않는 경우 사용자가 POST 요청을 보냈을 때.
5xx: 서버 오류
500 Internal Server Error
설명: 서버가 요청을 처리할 수 없을 때 발생하는 일반적인 오류 메시지. 서버 내부에 문제가 있음을 의미.
예시: 서버 내부의 오류로 인해 사용자의 요청을 처리할 수 없는 경우.
503 Service Unavailable
설명: 서버가 일시적으로 요청을 처리할 준비가 되어 있지 않음을 의미함. 일반적으로 서버 과부하나 유지보수로 인해 발생.
예시: 서버가 유지보수 중이거나 임시적으로 과부하 상태일 때.
'INFO' 카테고리의 다른 글
터미널에서 VSCode로 내 프로젝트 바로 열기 (0) | 2024.03.08 |
---|---|
Nest.js 개발환경 구축 (0) | 2024.03.07 |
마크다운(Markdown) 작성법 (0) | 2024.03.07 |
내 프로젝트에 TypeScript 설치하기 (0) | 2024.03.06 |
Docker로 로컬에서 MySql 사용하기 (0) | 2024.02.26 |